암에 대한 이야기

"우리 몸에도 '항암 능력'이 있다? 면역력이 암을 이기는 원리"

꼬마 연구원 2025. 2. 6. 22:22
728x90
반응형
SMALL

(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어떻게 암세포를 감시하고, 제거할까?)

안녕하세요, 작은 연구자의 블로그입니다.

💡 "암은 우리 몸에서 생기는 세포인데, 면역세포가 이를 막을 수 있을까?"
💡 "면역력이 강하면 암이 생기지 않는 걸까?"
💡 "면역항암제는 기존 항암 치료와 무엇이 다를까?"

🔬 암세포는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지만, 면역체계는 이를 감시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.
🔬 하지만 암세포는 면역 공격을 피하는 전략을 발전시켜 살아남기도 합니다.
🔬 그렇다면,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은 어떻게 암세포를 감시하고, 제거할 수 있을까요?


🔬 1. 면역세포는 암세포를 어떻게 감시할까?

우리 몸에는 암세포를 찾아내고 제거하는 면역 시스템이 존재합니다.
특히 **선천 면역(innate immunity)**과 **적응 면역(adaptive immunity)**이 협력하여 작동합니다.

1) NK 세포(Natural Killer Cell, 자연살해세포) – '암 감시자'

  • NK 세포는 면역계의 1차 방어선으로, 암세포나 바이러스 감염 세포를 즉각적으로 공격.
  • 정상 세포는 MHC-I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 면역세포가 공격하지 않지만,
  • 암세포는 MHC-I 발현이 낮거나 없어서 NK 세포가 이를 감지하고 공격함!

2) 대식세포(Macrophage) – '암 청소부'

  • 암세포가 죽으면 대식세포가 이를 제거하는 역할을 함.
  • 하지만 종양미세환경(TME)에서 암세포는 대식세포를 억제하는 신호를 보내기도 함.

3) T세포(T Cell) – '암 정밀 타격'

  • CD8+ T세포(세포독성 T세포):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고 제거.
  • CD4+ T세포(보조 T세포): 면역 반응을 조절하며, NK 세포와 B세포를 활성화.
  • 하지만 암세포는 '면역 체크포인트(immune checkpoint)'를 이용해 T세포의 공격을 회피할 수 있음!

📌 즉, 건강한 면역체계는 암세포를 감시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하지만, 암세포도 다양한 회피 전략을 사용하여 생존하려고 함.


🔬 2. 암세포는 면역공격을 어떻게 피할까?

암세포는 면역 시스템을 피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발전시켰습니다.

1) 면역 체크포인트(Immune Checkpoint) 조작

  • 암세포는 **PD-L1(Programmed Death-Ligand 1)**이라는 단백질을 발현하여 T세포를 무력화함.
  • 정상적인 면역 반응에서는 PD-L1이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,
  • 암세포는 이를 악용하여 T세포의 공격을 회피!

2) 종양미세환경(Tumor Microenvironment, TME) 조성

  • 종양 주변에는 **면역 억제세포(Treg, M2 대식세포)**가 많아지면서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제거하지 못하도록 함.
  • 암세포는 면역 억제성 사이토카인(IL-10, TGF-β)을 분비하여 면역 반응을 약화시킴.

3) 항원 발현 감소

  • 암세포는 T세포가 알아볼 수 있도록 암 항원(Neoantigen)을 표면에 발현하지만,
  • 일부 암세포는 항원 발현을 줄이거나 없애면서 면역 공격을 피함.

📌 즉, 암세포는 단순한 세포 덩어리가 아니라, 면역 회피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'진화된 생존 시스템'을 가지고 있음.


🔬 3. 면역항암제는 어떻게 암을 공격할까?

기존 항암 치료(화학요법, 방사선치료)는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면역항암제는 면역계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전략입니다.

1) 면역관문억제제(Immune Checkpoint Inhibitors, ICI)

  • 암세포가 면역을 회피하는 PD-L1/PD-1 신호를 차단하여 T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함.
  • 대표적인 약물: 키트루다(펨브롤리주맙, pembrolizumab), 옵디보(니볼루맙, nivolumab)
  • 특정 암(폐암, 흑색종 등)에서 획기적인 생존율 향상을 보임.

2) CAR-T 세포 치료(CAR-T Therapy)

  • 환자의 T세포를 유전자 조작하여 암세포를 강력하게 공격하도록 만드는 방식.
  • 주로 혈액암(백혈병, 림프종)에서 효과가 뛰어남.
  • 대표적인 약물: 킴리아(Tisagenlecleucel), 예스카르타(Axicabtagene ciloleucel)

3) 암 백신(Cancer Vaccine)

  • 암세포의 특정 항원을 이용하여 면역계를 활성화하는 백신 전략.
  • 현재 임상 연구 진행 중이며, HPV 백신(자궁경부암 예방)이 대표적인 예.

📌 즉, 면역항암제는 면역계를 활용하여 암을 공격하는 전략으로, 일부 암에서는 기존 치료법보다 뛰어난 효과를 보이고 있음.


🎯 결론: 우리 몸에는 강력한 '항암 시스템'이 존재하지만, 암세포도 이를 회피하는 전략을 발전시킨다!

🧐 면역세포(NK 세포, T세포)는 암세포를 감시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함.
🧐 하지만 암세포는 면역 체크포인트 조작, 종양미세환경 형성 등 다양한 회피 전략을 발전시켜 생존.
🧐 면역항암제(면역관문억제제, CAR-T 치료 등)는 암세포의 면역 회피 전략을 차단하는 혁신적인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음.
🧐 면역을 강화하는 생활 습관(운동, 건강한 식단, 스트레스 관리)도 암 예방에 도움 될 수 있음.


📝 여러분의 생각은?

✅ 면역항암제가 기존 항암 치료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까요?
✅ 암세포가 면역 회피 전략을 극복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낼 가능성은?
✅ 여러분의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😊

728x90
반응형
LIST